심사위원으로의 초대를 수락 혹은 거부하기에 앞서 다음의 사항을 고려해 주십시오.
- 논문이 전공분야와 일치하는지 고려해 주십시오.
- 잠재적인 이해충돌(conflict of interest)은 없는지 확인해 주십시오. 만약 있다면 편집장에게 답변을 주실 때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 기한 내 심사가 가능한지 고려해 주십시오.
거절을 포함하여 가능하면 초청에 대해 빠른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심사위원님들의 결정이 지연되는 만큼 심사과정이 느려지고 결국 저자들은 더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부득이 심사를 거절하시는 경우, 대신해 줄 수 있는 심사자를 추천해 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심사 수락 후 받아보게 되는 자료는 모두 기밀문서로 취급하셔야 합니다. 편집장의 사전 허락 없이는 어떤 사람과도 해당 자료를 공유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피어리뷰(peer review)는 비밀에 부쳐지므로, 편장장과 저자의 허락 없이는 어떤 사람과도 심사 내용을 공유해서는 안 됩니다.
대한조현병학회 홈페이지 하단에 Online투고심사 클릭 또는 투고 시스템 (submission.schizophrenia.or.kr)에 직접 접속한 뒤, 왼쪽 메뉴창에서 심사위원 로그인 클릭하시면 됩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심사 초청 메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심사 하시는 동안 다음 사항을 명심해 주십시오.
당신의 심사는 해당 논문의 출판여부를 편집장이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저자들에게 논문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됩니다. 당신의 전반적인 의견과 전반적인 관찰은 필수적입니다.
심사 내용은 정중하고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인신공격적인 내용이나 심사자의 이름을 포함한 개인적인 사항을 포함해서는 안 됩니다.
누락되거나 부족한 부분에 대한 지적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당신이 내린 결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편집장뿐만 아니라 저자들이 당신의 언급 이면에 있는 추론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당신의 지적이 개인적인 의견인지 아니면 자료나 증거를 반영한 것인지 적시하여야 합니다.
답변서에 제공된 체크리스트도 잘 평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권고는 다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제시해 주시면 편집장의 최종평가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1) 배척(reject): 심사에 그 이유를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승인(accept) 또는 무수정 개재, (3) 수정(revise): 중대한(major) 수정이든 경미한(minor) 수정이든 수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해 주시고, 수정된 논문을 다시 심사해 주실지에 대한 의견 또한 주시기 바랍니다.